새옹지마 뜻, 유래 새옹지마 한자
새옹지마 뜻 새옹지마 한자 알고 계신가요?
새옹지마(塞 변방 새, 翁 늙은이 옹, 之 조사 지, 馬 말 마) 한자로 새옹지마 뜻은 변방 노인의 말처럼 복이 화가 되기도 하고, 화가 복이 될수도 있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간만사 새옹지마라는 말을 자주 사용하는데요, 인간만사 새옹지마 뜻은 인간 세상에서 일어나는 모든일이 새옹지마이니 눈앞에 벌어지는 결과만을 가지고 너무 연연해 하지 말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새옹지마 유래는 중국 국격 지방에 살고 있던 한 노인으루부터 나오게 되었으며, 그 노인이 기르던 말이 국경을 넘어 오랑캐 땅으로 도망치게 되었습니다. 이걸 알게된 이웃 주민들이 그 노인에게 위로의 말을 전하였으며, 이 노인은 이일이 복이 될지 누가 압니까? 하며 태연자악 하였습니다.
그로부터 몇달이 지나고 노인의 집에서 도망쳤던 말이 암말 한필과 함꼐 돌아왔으며 주민들은 노인께서 말씀하신 그대로라며 축하하였습니다. 그러자 노인은 이게 화가 될지 누가압니까? 하며 기쁜 내색을 하지 않았고 며칠 뒤 노인의 아들이 그 말을 타다가 낙마하여 다리가 부러지고 말았습니다. 이에 마을사람들이 다시 노인을 위로 하니 노인은 역시 이게 복이 될지도 모르는 일이라며 표정을 바꾸지 않았으며,
그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고 북방 오랑캐가 침략해오기 시작하였고, 나라에서는 징집령을 내려 젊은이들을 모두 전장에 나가게 하였지만 노인의 아들은 말을 타다가 다리가 부러진 탓에 전장에 나가지 않아도 되었다고 합니다.
새옹지마 유래는 이렇게 시작되었으며, 새옹지마 뜻과 새옹지마 한자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요.